Showing 1 - 10 of 42
(ii) is redistributive in favor of the (borrowing-constrained) poor, by targeting an inflation measure that overweighs the …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240639
English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whether the effectiveness of monetary policy can be affected by the degree of household indebtedness. We take an interacted panel VAR approach using a panel of 28 countries and thereby obtain several interesting findings. That is, the responses of...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40754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규제 외부성과 규제 불완결성을 가정한 이론모형에 기반하여 사회 최적의 금융감독체계를 도출하고 통합형과 쌍봉형 금융감독체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규제 외부성이 완전히 내부화되어 규제...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893799
Korean Abstract: 본 논문은 시스템리스크 측정에 관한 그간의 연구성과들을 소개하고 시스템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한 거시건전성 정책체계에 대해 살펴본다. 그리고 한국의 현행 거시건전성 정책체계에 대해 검토하고 이를...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898927
Korean Abstract: 본고는 금융안정을 위한 금융감독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금융안정을 위협하는 요소를 도덕적 해이, 상호연계성, 경기순응성으로 구분하여 금융안정의 개념을 구체화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위협요소를...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01355
Korean Abstract: 본고에서는 기존문헌연구를 통하여 예금보험제도가 도입된 후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예금보험과 금융안정의 관계를 분석한 기존문헌들을 분석하였다. 기존문헌에서는...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01380
inflows in Emerging Market Economies (EMEs). We introduce a novel theory that identifies an additional rationale for reserve … constrained efficient equilibrium. We test our theory using data from 34 EMEs over the period 1999-2019. The findings support our … theory, as countries with more restrictions on gross capital outflows tend to accumulate larger reserves in response to …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256578
Korean Abstract: 본고에서는 재정 확대 정책 시행 시 재원조달 방법이 달라짐에 따라 정책 효과에 차이가 발생하는지 분석하였다. 기존 실증분석 연구는 재원조달 방법을 정의할 때 이론적인 조건을 엄밀하게 충족하지 못하는...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220883
Korean Abstract: 최근 유로지역의 재정위기 등으로 재정건전성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경기조절을 위한 수단으로 추경과 같은 통상적인 재정확장 수단 이외에 재정의 조기집행이 강조되고 있다. 원칙적으로 재정의 조기집행은...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2673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금융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재정정책 관련 조치들을 시점에 따라 정리하고, 확장적 재정정책이 거시변수에 미친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금융위기에...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3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