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1 - 10 of 119
Korean Abstract:■ 최근 우리 경제는 제조업의 회복 흐름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가 국내에서 빠르게 재확산됨에 따라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경기 부진이 지속됨. ○ 제조업은 내구재 소비, 설비투자, 상품 수출이 높은 증가세를...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251162
Korean Abstract:■ 우리 경제는 2020년에 –1.1%의 역성장을 기록한 후, 2021년에는 상품수출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내수 회복이 제한되면서 3.1% 성장할 전망- 소비자물가는 유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기대인플레이션과 수요 압력이...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250457
English Abstract: Signs of an economic slowdown stabilized in production side but the overall economy showed no hint of a steady recovery. ○ Concerns about an economic slowdown in production side resulting from the decrease in industrial production growth in the previous 2Q have somewhat...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48254
Korean Abstract: 최근 우리 경제는 작년 4/4분기 이후의 경기 개선 추세가 다소 약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음. ○ 제조업을 중심으로 광공업생산이 마이너스 증가율을 기록하는 등 산업생산의 개선 추세가 둔화되고 있음. - 6월...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49620
Korean Abstract: 최근 우리 경제는 수출과 투자 중심의 경기 개선 추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생산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경기 개선 속도는 다소 완만해지는 모습 ○ 반도체 부문을 중심으로 수출이 높은 증가율을 지속하고 기계류...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52712
Korean Abstract: 최근 우리 경제는 생산 증가세가 다소 둔화되었으나, 수출과 투자 부문을 중심으로 완만한 경기 개선 추세는 유지되고 있음. ○ 제조업생산이 반도체부문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작년 4/4분기 이후...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54607
Korean Abstract: 최근 우리 경제는 대내외 수요가 위축되면서 경기가 점차 부진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 내수가 부진한 가운데, 수출도 주력 품목을 중심으로 감소함. - 2월 소매판매액은 설 명절 이동의 영향으로 비교적...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888915
English Abstract: The Korean economy is continuing to slow led by stagnating investment and exports. Retail sales rose on temporary factors such as the Lunar New Year holidays but investment and exports deteriorated further. Retail sales escalated led by increased demand, mainly for non-durable...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890461
English Abstract: The Korean economy exhibits a continued slowdown in production and demand. Production in industrial (mining and manufacturing) and services exhibited slow growth as that in construction also remained weak. There was a slight increase in most industrial and service sectors,...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892944
Korean Abstract:■ 최근 우리 경제는 생산이 일시적으로 조정되었으나, 대내외 상품수요의 증가세가 지속되며 완만한 경기 회복세는 유지되는 모습 ○ 원자재와 중간재의 수급에 차질이 발생함에 따라 자동차산업과 건설업...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2197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