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제조업 경쟁력 강화정책과 정책시사점 (Strengthening U.S.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and its Implications)
Koroean Abstract: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 정부는 금융부문의 과도한 성장과 제조업의 경쟁력 약화현상이 경제시스템을 위태롭게 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줄어들게 만든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이에 오바마 정부는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첨단제조업을 육성하는 제조업 경쟁력 강화정책을 추진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정책은 글로벌 생산네트워크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제조업과 수출에도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이 연구는 2009년부터 미국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제조업 경쟁력 강화정책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산업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미국은 1990년대까지만 해도 세계 제조업 생산의 30% 이상을 차지했으나 최근에는 그 비중이 18% 수준까지 하락했다. 또 미국 제조업의 GDP 대비 부가가치 비중도 1970년대 20% 중반을 유지하다가 2000년대 초반 15%대로 떨어지더니 지난 2009년에는 11.9%까지 내려갔다. 이에 미국 제조업이 약화된 원인과 오바마 정부 출범 이후 이러한 추세에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미국 제조업 관련지표를 살펴보았다. 먼저 미국의 제조업 총요소생산성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1990년대 후반까지 크게 높아졌으나, IT버블 붕괴로 성장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하였다. 곧이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2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였다. 비록 오바마 정부 출범 이후에도 총요소생산성 향상은 지난 24년 평균(1.2%)의 절반(0.6%) 수준에 불과하였으나 총요소생산성 둔화추세가 멈췄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한편 무역특화지수는 오바마 정부가 취임한 2009년 전후로 철강, 화학, 일반기계, 과학ㆍ의료기기, 반도체 부문 등의 분야에서 하락했는데, 이는 오바마 정부의 제조업 육성정책이 일부 제조업의 국제경쟁력에는 아직까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기 때문이다. 또한 국제산업연관표 분석에 의하면 2000년대 초반 이후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에서 미국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크게 축소하였으며, 부가가치분석 결과, 미국의 무역수지 적자의 대부분이 제조업에서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국의 제조업 생산성 및 국제경쟁력 둔화에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한 실업률 상승이 가세하면서 오바마 정부가 수출확대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제조업 진흥정책을 적극 추진할 당위성을 부여하였다. 따라서 오바마 정부는 취임 초부터 첨단제조업의 혁신성, 수출 제고 및 타 부문보다 높은 경제ㆍ사회적 파급효과에 주목하게 되었다. 아울러 북미 지역의 셰일가스 생산 확대에 따른 에너지 비용 하락, 개도국의 임금상승 추세, 지식재산권의 중요성 증대, 국제운송비 상승 등도 미국 제조업의 재조명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Year of publication: |
2015
|
---|---|
Authors: | Kim, Bo Min |
Other Persons: | han, minsoo (contributor) ; Ko, Hee-Chae (contributor) ; Kim, Jonghyuk (contributor) ; Lee, Sung Hee (contributor) |
Publisher: |
[2015]: [S.l.] : SSRN |
Description of contents: |
English Abstract: Followi ...
|
Saved in:
freely available
Extent: | 1 Online-Ressource (195 p) |
---|---|
Series: | KIEP Research Paper ; No. Policy Analysis 14-21 |
Type of publication: | Book / Working Paper |
Language: | Korean |
Notes: | Nach Informationen von SSRN wurde die ursprüngliche Fassung des Dokuments December 30, 2014 erstellt |
Other identifiers: | 10.2139/ssrn.2621319 [DOI] |
Source: | ECONIS - Online Catalogue of the ZBW |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20726
Saved in favorites
Similar items by person
-
국제 공유지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거버넌스 연구 (A Study on the Governance of the Global Commons)
Moon, Jin-Young, (2014)
-
Park, Bokyeong, (2013)
-
In Search of a New U.S. Economic Path in the Aftermath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Park, Bokyeong, (2013)
-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