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1 - 10 of 28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금융위기가 고용 및 실업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이번 금융위기 기간 동안의 고용조정이 외환위기 당시나 여타 선진국의 경험과 비교하여 매우 완만하게 나타난 원인이 무엇이었는지에...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3120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613586
Korean Abstract: 우리 경제는 소득수준이 높아지고 저출산⋅고령화 등 인구구조의 변화가 진행되면서, 과거와 같이 노동과 자본의 요소투입 증가를 통한 경제성장이 점차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총요소생산성의...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89528
After comprehensively reviewing various methodologies related to productivity growth rate, this paper estimates that Korea's TFP growth rate in the 2000s is not substantially lower than that in the 1990s.This estimation implies that Korea's TFP growth maintains a sustainable pace, and hence less...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2131
Korean Abstract: 우리 경제가 고령화 등으로 인해 과거와 같이 요소투입을 통한 경제성장이 어려워지면서 총요소생산성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으나, 성장회계를 이용한 기존 연구들이 각기 다른 방법론을 사용함에 따라...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2675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정보통신자본의 활용이 경제 전반의 생산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는지를 1970∼2005년 기간의 산업별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정보통신자본의 축적과 생산성 향상 사이에...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3125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경제위기 이후 한국경제의 성장 둔화의 요인을 살펴보고, 국제비교적 관점에서 위기 이후의 성장 성과를 평가해 보았다. 수량변수 및 가격변수를 이용한 성장회계 분석 결과는 경제위기 이후 급격한...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3260
Korean Abstract: 경제위기 이후 미숙련 근로자의 고용 상황이 상대적으로 악화되고 있다. 숙련 근로자의 고용비중이 증가하는 가운데 임금의 교육 프리미엄이 상승하는 현상은 숙련 근로자의 상대적 수요가 공급보다 빠르게...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3504
Korean Abstract: 한국의 자연실업률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한 가지의 추정방법에 의존하고 있어 연구 간에 상이하게 나타나는 추정결과를 평가할 근거가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를 감안하여 순수...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3605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025694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