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1 - 10 of 23
This report reviewed Chinese green growth policy overall; and also analyzed trade policy, trade disputes, and Korea-China trade. China's green growth is that it represents a transition in the mode of economic development. It is also empirically proven that the result of environmental regulation...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43084
Korean Abstract: 중국의 디지털 전환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중국경제의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미ㆍ중 무역 분쟁은 점차 디지털 영역으로 확산하고 있다. 이에 우리는 중국정부가 추진하는 디지털 거버넌스와...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077916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 시진핑 지도부하에서 국유기업 개혁과 산업구조조정이 가속화됨에 따라 기업경쟁력, 사업다각화, 산업집중도 분석을 통해 중국 국유기업의 개혁방향을 전망하고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을...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20724
In 2001, China adopted “Go Global” as its official policy agenda, which pertains to Chinese businesses in overseas. The policy was set as the primary means of foreign economic cooperation in the 10th 5-year plan (2001-2005). Consequently, in 2009 and in 2008 were legislated. Moreover, the...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48311
Korean Abstract 신흥국 경제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한국에 있어 신흥국의 중요성도 나날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신흥국 수입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은 답보상태이며 그 자리를 중국이 메꾸고 있다. 본 보고서는...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54050
Korean Abstract:중국은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녹색산업 발전에 녹색금융의 활용이 반드시 동반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다. 2016년 이후, 세계에서 가장 빠르고 적극적으로 녹색금융 시장 형성을 추진하고 있는...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354516
Korean Abstract: 최근 중국을 둘러싼 통상환경의 변화가 다이내믹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한ㆍ중 무역구조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향후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품이 중국산...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213994
Korean Abstract: 아프리카와 대양주 지역(AP: Africa and the Pacific regions)은 높은 시장 잠재력 및 그 전략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우리나라의 FTA 네트워크에서 배제되어 있었다. AP 지역의 경우 대부분의 국가가...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2126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