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1 - 10 of 26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가계부채에 대한 방정식을 제시하고, Heckman(1979)의 확률효과 선택모형을 이용하여 이를 추정하였다. 가계의 부채조달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발생 가능한 비임의성에 따른 선택편의 문제를 완화하기...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867629
The Bank of Korea, through a legal amendment in 2011 following the financial crisis, was entrusted with the additional responsibility of financial stability beyond its existing mandate of price stability. Since then, concerns have been raised about the prolonged increase in household debt...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517419
Korean Abstract:본 논문은 2003년부터 2018년까지 분기별 자료를 이용하여 테일러 준칙(Taylor rule)을 가정한 한국 기준금리 및 장・단기 시장금리 수준이 미국 금리변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받는지 확인하고, E-GARCH 모형과...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829671
Korean Abstract: 본고는 통화정책의 파급경로 중 은행대출경로 및 은행자본경로에서 은행자본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먼저 은행대출경로의 이론과 부합하게, 자기자본비율이 높은 은행일수록 통화정책 충격에 대한 은행대출의...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01359
Korean Abstract: 본고는 한국은행이 실시한 「2016년 기업 가격설정행태 조사」의 결과를 정리하고 통화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였다.먼저 「2016년 기업 가격설정행태 조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17176
Korean Abstract: 신용 관점(credit view)에 의하면 대출 제한과 같은 마찰적 요인이 존재할 경우 경제 활동에 미치는 충격의 효과는 증폭, 지속성, 비선형성의 형태로 나타난다. 특히, 긴축적 신용 상태에서는 신용 제약에...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867631
English Abstract: This paper explores whether the effectiveness of monetary policy can be affected by the degree of household indebtedness. We take an interacted panel VAR approach using a panel of 28 countries and thereby obtain several interesting findings. That is, the responses of...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40754
Korean Abstract: 유가충격은 미관측변수이므로 충격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서 거시경제변수에 미치는 파급효과도 상이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하는 가격기준과 수량기준의 유가충격을 정의하고...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42576
Korea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물가안정목표제 운용을 환율정책에 중점을 두고 살펴본다. 외환위기 이후 최근까지 콜금리 반응식에 대해 인플레, 산출량 갭, 실질실효환율의 변화율을 설명변수로 하여 추정하면,...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42680
Korean Abstract: 본고에서는 먼저 통화당국의 금리변경에 따른 무역수지 변동을 분석하는 데 적합한 개방경제하의 새 케인지안 모형을 설정하였다. 동 모형에 입각하여 정책당국이 시장의 균형조건을 충족시키면서 민간...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426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