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1 - 6 of 6
Korea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통화량 지표(M2, LF)와 함께 내생적 통화이론에서 중시하는 금융기관의 신용(credit, 예금은행 대출금)까지 포함한 다수의 유동성 지표로부터 실물경기를 반영하는 내재 유동성을 추정하였다. 또한...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14466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포트폴리오 선택 및 이자율평형 이론에 근거하여 수익성 요인인 차익거래유인, 글로벌 리스크 및 국가 리스크를 중심으로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 우리나라에 대한 외국인의 채권투자 결정요인 변화...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15513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가계대출에 대한 다양한 신용정보(가계대출, 다중채무, 신용등급 등)와 시스템적 리스크의 관련성을 검증했다. 분석결과 가계대출 규모는 시스템적 리스크에 선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은행...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26040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nd the COVID-19 pandemic. During the period from 2006 to 2012, the evaporation of money for the …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346224
English Abstract: Can a bank create money out of nothing? If so, how and how much a bank create money? While this issue … money out of thin air, while financial intermediation theory models banks as mere financial intermediaries, collecting … deposits that are to be lent out. Fractional reserve theory argues that each individual bank cannot create money but the …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01573
Korean Abstract: 신용 관점(credit view)에 의하면 대출 제한과 같은 마찰적 요인이 존재할 경우 경제 활동에 미치는 충격의 효과는 증폭, 지속성, 비선형성의 형태로 나타난다. 특히, 긴축적 신용 상태에서는 신용 제약에...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8676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