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1 - 7 of 7
Korean Abstract: 아세안은 2015년 아세안 공동체를 출범시키고 정치·안보, 경제, 사회·문화 영역에서 역내 통합을 추진해왔으나, 미·중 전략경쟁 심화 및 코로나19 확산 등대내외 환경 변화로 인해 새로운 도전과제에 직면하고...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078977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호주·뉴질랜드의 경제적, 전략적 중요성을 살펴보고, 호주·뉴질랜드와의 협력 증대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아시아 주요국을 중심으로 호주와 뉴질랜드의 경제관계 및 통상전략을...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18684
Korean Abstract: 서비스 분야는 그 특성상 국가 간 교역 시 인적교류 및 투자가 동반되며, 서비스교역 증가가 제조업 분야의 교역 및 생산성 증대에 기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즉 서비스산업은 상생번영 효과가 높은 분야로,...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214219
Korean Abstract: 아프리카와 대양주 지역(AP: Africa and the Pacific regions)은 높은 시장 잠재력 및 그 전략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우리나라의 FTA 네트워크에서 배제되어 있었다. AP 지역의 경우 대부분의 국가가...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212662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과 아세안의 서비스교역 현황 및 제한요인을 분석하고, 우리나라 서비스수출의 안정적인 성장을 위한 정책 대응방안을 모색하였다. 서비스교역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GVC 분석, 공급유형별...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866334
Korean Abstract: 한국은 최근 직접투자를 통해 ASEAN과 상호 의존적인 경제관계를 확대하고 있으므로, 장기적 안목에서 어떻게 전략적 관계를 발전시켜나갈지 고민할 때다. 양자간 관계를 더욱 강화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한국의...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59349
Korea Abstract: 2017년 1월 30일 미국이 환태평양경제동반자(TPP) 협정에서 공식적으로 탈퇴함에 따라 협정 발효 가능성이 불투명해지면서 아태 역내 주요 메가 FTA인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RCEP) 협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443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