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1 - 10 of 14
Korean Abstract: 한국과 베트남은 1992년 12월 외교 관계를 수립한 이후 지난 30년간 괄목할 협력 성과를 이루었다. 양국 간 협력이 빠르게 늘어난 것은 양국이 지리적·역사적·문화적 유사성과 공통점을 보유했기 때문이다....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078810
Korean Abstract: 본 보고서에서는 중장기 통상 이슈로서 글로벌 공급망 재편, 디지털 무역, 기후변화, 보건협력, 개발협력 등의 분야에서 주요 지역과의 협력 방향을 도출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하고자...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083145
Korean Abstract: 아프리카의 인프라는 세계에서 가장 열악하다. 도로는 화물과 승객 수송의 80~90%를 담당하는 주요 국가 기간망이지만 포장비율은 20% 정도에 불과하며, 철도 역시 대부분이 식민시대에 건설된 것으로 노후화...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07182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동남아 주요국에 진출한 우리 기업이 가장 민감하게 여기는 투자요인 가운데 하나인 노동시장의 환경변화를 분석했다. 먼저 노동시장의 환경변화를 가져온 배경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20694
Korean Abstract: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베트남은 성장세의 둔화를 경험했다. 최근 FDI 유입 증가, 양자·다자 FTA의 확대 체결, 아세안경제공동체(AEC) 출범 등 대외경제 환경이 우호적으로 조성되면서 베트남의 성장...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80437
Korean Abstract: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지방자치단체를 중심으로 국제행사의 개최 요구가 크게 높아졌다. 지방자치 시대를 맞아 지방의 국제화 제고 및 국토균형발전 등의 취지로 볼 때 지자체의 국제행사 개최를 무조건...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53856
Korean Abstract: 미ㆍ중 갈등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지정학적 갈등이 고조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공급망ㆍ기술ㆍ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마찰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마찰은 한 국가의 경제성장과 안보까지...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345594
Korean Abstract: 아세안과 인도는 인도양과 태평양을 잇는 전략적 요충지이자 세계경제의 성장 엔진으로서 전 세계의 이목을 끌고 있는 지역이다. 한국정부도 2017년 ‘신남방정책’을 발표하고 아세안 및 인도와의 전방위적...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214093
Korea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디지털 격차가 경제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우선 역내 디지털화의 진전 정도를 살펴보고, 역내 주요국의 디지털 전환 정책을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214223
Korean Abstract: 신남방지역에서 한국기업의 수주규모는 2018년 10월 기준 98.9억 달러(전체 수주액의 40.9%)를 기록해 85.7억 달러를 수주한 중동(35.5%)을 넘어 최대 수주처로 부상했다. 이러한 성과는 건설 수요가 높은...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866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