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1 - 10 of 18
Korean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가계의 이질성과 소규모 개방 경제 특성을 동시에 고려한 뉴케인지언 모형을 구축하고 베이지안 추정 기법과 한국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수를 추정하였다. 동 모형은 소득 위험(uninsurable...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261990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통화통합의 무역효과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통화동맹의 추진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세계경제의 3대 축인 유럽연합, 북미, 동아시아 경제 국가 사이의...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42589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원ㆍ달러 실질환율을 이용하여 구매력 평가 가설(Purchasing Power Parity Hypothesis) 성립여부를 검증하고 이러한 과정에서 교역재 부문과 비교역재 부문이 실질환율의 변동성을 어느 정도 설명하는지를...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07234
Korean Abstract: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해외수요 위축으로 종래 제조업-수출 위주의 성장전략이 한계를 나타냄에 따라 수출-내수간 균형성장과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을 위한 대안으로서 서비스 산업 육성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26035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글로벌 요인과 개별 국가 요인의 영향을 다층 요인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한국과 G7 의 월별 인플레이션 자료에서 글로벌 요인과 국가 요인을 추정하고 각 요인의...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347539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2000~2021년 중 세부 품목별 수출자료를 이용하여 우리 수출의 결제통화 결정 요인을 분석하고 결제통화가 수출가격의 환율 민감도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 수출의...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262918
Korean Abstract: 본고에서는 한국경제의 외부충격에 대한 대응능력을 분석하기 위해 먼저 Uribe and Yue(2006)가 제시한 VAR 모형을 이용하여 외환위기 이후 대외충격이 한국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한국경제의...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07236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파시네티가 제안한 소득 분배의 노동 원칙과 케인스의 『일반이론』 제24장의 관점에 입각하여 1994년 이후의 한국경제를 대상으로 이자생활자 부문과 산업 부문 사이의 소득 이전 양상을 분석한다....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55196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다양한 경제적 충격에 대한 산업간 반응의 유사성이 지난 20년 간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분석한다. 분석 방법으로는 산업간 상호의존성과 회귀계수들의 시간에 걸친 변화를 허용하는 시변모수...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26044
Korean Abstract: 재고투자의 생산평활(production smoothing) 가설에 따르면 기업은 생산비용의 볼록성 하에서 예상치 못한 수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재고를 보유하므로 수요에 비하여 생산의 변동성이 완화된다. 그러나 생산의...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255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