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1 - 10 of 34
Korean Abstract: 본고는 1955~2018년중 북한의 투자시계열을 구축하고 영구재고법으로 자본스톡을 추계한 후 이를 통해 북한의 경제성장 요인을 살펴본 것이다. 자본스톡은 건설자산과 설비자산을 구분하여 추정하였다.추정 결과...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090947
Korea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남북한 통일 이후 북한지역의 출산율과 기대여명 변화에 대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코호트 요인법(Cohort Component Method)을 이용하여 남북한 인구를 추계함으로써 시나리오별 인구고령화의...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51143
structures between an integrated Korea and the reunified Germany, as well as those between North Korea, China and Vietnam. Based … Korea and after reunification.In China and Vietnam, the first demographic dividend effect caused by a sharp decline in the …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20599
-up. To this end, three possible scenarios, i.e., gradual transition, socialist market economy like China, and economic … China based on the massive inflow of capital from overseas Chinese; (ii) India’s IT-oriented export model using …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137069
Korean Abstract: 본 논문은 경제적 불평등이 정치적 의사결정과정을 통하여 환경정책과 재분배정책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정치과정을 배제한 경제적 균형에서는 환경정책(배출세)의 도입이 미도입시와...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4620
Korean Abstract: 본고는 1956~89년중 북한의 장기 경제성장률을 추정한 것이다. 곡물, 석탄, 철강, 전력, 시멘트 등 주요 품목의 생산량 정보를 역사적으로 재구성하여 농림어업, 광업, 경공업, 중화학공업, 전력가스수도업, 건설업,...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094974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경제위기 이후 한국경제의 성장 둔화의 요인을 살펴보고, 국제비교적 관점에서 위기 이후의 성장 성과를 평가해 보았다. 수량변수 및 가격변수를 이용한 성장회계 분석 결과는 경제위기 이후 급격한...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3260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무역의 다양성과 교역상대국의 경제환경이 자국의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1970~2000년 기간에 대한 69개국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있다. 다양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집중도지수와 산업내...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42591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화폐(지역사랑상품권) 도입이 지역경제에 미친 영향에 대해 이론 및 실증 분석하였다. 선형도시에 소형마트와 대형마트를 상정한 이론분석에서는 지역화폐의 도입이 대형마트로부터...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839525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재정수입 및 지출 그리고 국민소득의 세 변수를 구조적 벡터자기회귀 (Structural VAR) 모형에 대입하여 재정의 경기조절기능을 분석하고자 하는 시도에서 비롯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교란항에 다양한...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3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