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1 - 10 of 29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2006~2014년 통계청의 기업활동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제조업 수출기업의 내수전환 결정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생존분석 기법인 Complementary Log-Log 모형을 통해 우리나라...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093566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초년생의 금융 관련 특성을 파악하고 개인재무관리를 위한 금융서비스 제공 방안 등 정책적 제언을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최근 6개월간 월 평균 개인(본인)소득 100만 원 이상이며 모든...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492230
Korean Abstract: 대부분의 법인사업체는 주식회사이며, 법 체제에서 주식회사의 경영권은 이사회가 행사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 대부분 회사들은 지배주주들이 경영권을 행사하고 있다. 아쉽게도 적지않은...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343825
Korean Abstract: 국제적인 수직적 분업화 또는 생산분할의 확대로 생산과정에서 수입중간재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환율변동으로 야기되는 수입중간재 가격 변화가 수출상품의 생산비용 및 수출가격에 미치는...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25998
Korean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2002∼2010년 중 우리나라와 교역상대국 간 수출입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해외충격이 우리나라의 수출입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직·간접 무역연계성의 역할에 주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26000
Korea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000년∼2013년 기간중 우리나라와 30개 주요 교역상대국 간의 수출입 통관자료를 이용하여 무역거래시 결제통화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원화의 국제화 진전이...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26003
Korea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선진국의 수입수요가 우리나라의 대 선진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이 글로벌 금융위기 전후로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살펴보았다. 교역상대국의 수입수요를 측정하기 위해 총수요 부문별(민간소비,...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13491
Korean Abstract: 2016년 기준 북한의 무역규모는 1990년대 중반에 비해 약 3배 정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변화를 두고 과거 폐쇄적이고 자립적인 경제구조를 지향했던 북한이 사실상 개방경제로 변화했다는 평가도 있으나...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19254
Korea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우리나라 재화 수출의 글로벌 소득 에 대한 탄력성이 하락한 원인을 분석한다. 2000년~2019년 국제산업연관 표를 이용하여 우리 재화 수출의 소득탄력성 변동 요인을 분해한...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214986
English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 methodology that divides consumers' responses to FTAs or commodity taxes into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argins, which cause exogenous price changes for some specific goods. The use of unit values as a dependent variable for...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212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