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1 - 10 of 25
Korean Abstract: 한‧인도 양국은 1973년 국교를 체결하였으나 양국의 본격적인 경제협력은 1991년 인도의 개혁개방 이후 구체화되었다. 특히 2000년 이후 인도가 개방 확대와 고성장을 거치면서 양국간 협력이 강화되어 2010년...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20697
Korean Abstract:</B> 본 연구는 우리 기업들의 대인도 진출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시사점으로 ① 중소·중견·벤처 기업, 유망산업 중심으로 M&A를 활용한 진출기회 제고 ②기업내부 M&A 역량및파트너십 구축 강화 ③ M&A 관련 정책및...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24069
Korean Abstract: 한·인도 교역이 2011년 200억 달러 돌파 이후 최근까지 정체되고 있는 상황에서 2018년 7월 문재인 대통령은 신남방정책의 핵심 파트너인 인도의 나렌드라 모디(Narendra Modi) 총리와 정상회담에서 양국간 교역목표를...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866340
Korean Abstract: 인도 모디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소위 모디노믹스는 고성장과 친기업을 지향하는 일종의 경제개혁 정책이다. 모디노믹스는 투자를 통해 고용과 소비를 촉진하고, 이것이 다시 투자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2442
Korean Abstract: 인도 정부는 2006년 개정된 「중소기업 육성법(MSMED: Micro,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Development Act, 2006)」을 통해 그동안 복잡하고 불명확했던 중소기업 범위와 분류 기준을 투자 규모에 따라 극소기업 (Micro),...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3385
Korean Abstract: 한-인도 CEPA는 인구 및 경제규모 면에서 거대 신흥국가와 체결한 최초의 자유무역협정으로, 2010년 발효 당시 많은 관심과 기대를 받았다. 상품 및 서비스 무역, 투자, 전문 인력 교류 등 우리나라가 추구했던...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291440
Korean Abstract: 2020년의 한ㆍ러 수교 30주년과 코로나19 팬데믹을 계기로 시작된 본 연구는 한ㆍ러 양국의 경제협력 활성화 방안을 중소기업의 관점에서 모색해 봤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화된다. 한ㆍ러 양국의...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295945
Korean Abstract: 인도의 클러스터 개발은 1990년대 중반 UNIDO의 클러스터 개발프로그램을 시작으로 본격화되었다. 이후 2000년대에는 중앙정부부처와 주정부별로 각자의 정책 목표에 부합하는 다양한 클러스터 개발 계획이...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092787
Korean Abstract: 지난 2020년 3월 세계보건기구(WHO)가 팬데믹을 선언한 이후 기후위기에 대한 세계 각국의 공동대응 노력이 강화되었다.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설정함으로써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크게 줄이고 저탄소...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078873
Korean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동지역의 산업 및 금융 환경 변화를 살펴보고 해외 개발금융기관의 대중동 금융지원 전략 및 사례를 분석하면서 국내 중동 진출 기업의 금융조달 능력 강화를 위한 한ㆍ중동 금융협력...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206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