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1 - 10 of 68
Korean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가계의 미시자료를 이용해 IMF 구제금융기간과 그 이후에 있었던 가계의 금융 및 실물자산이 가계소비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소비계층별 IMF 구제금융 기간 전후를 분석한...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01294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외환시장을 대상으로 주문흐름이 환율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석한다. 환율의 선택(거래가 대 예시호가), 달력주기(거래시점별 자료, 1분, 2분, 5분, 30분,1시간, 1일), 주문흐름(매매수도 부호...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42727
Korean Abstract: 본고는 우리나라 성인들이 화폐환상(money illusion)을 지니는지 여부를 가계 설문조사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화폐환상이란 경제주체들이 물가변동을 고려한 후의 실질가치가 아닌 화폐의 명목가치를 중심으로...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221194
Korean Abstract: 본 논문은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 가계소비행태의 예외적인 특징인 경기 동행성이 미시적으로 어느 연령층의 특이한 소비행태에서 비롯되었는지를 생애주기 모형을 통해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외환위기 이후...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894642
Korean Abstract: 통상 소비는 안정적인 흐름을 보이면서 성장률의 진폭을 완화하는 역할(counter-cyclicality)을 하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소비부진이 계속되는 가운데 경기 수축기에 가계소비가 GDP보다 더 큰...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238295
Korean Abstract: 본고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북한 비공식금융의 실태를 파악하는 한편 타국과의 비교를 통해 그 발전 정도를 평가한 것이다.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조사결과 상거래신용, 금전대차, 계(契) 등이...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829315
Korean Abstract: 본고는 소비함수에 대한 부의 효과와 가계부채가 민간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소비의 분위별로 분석해 보았다. 본고는 이와 같은 분석을 위해 시계열 자료에 적용되는 통상적인 분위회귀와 시계열에 대한...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864941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저출산․고령화의 진전과 여성 경제활동참여 증대 등에 따른 가구구조 변화가 가계생산에 영향을 주어 서비스 수요를 변화시키는 효과를 분석한다. 특히 기존에 가계생산에 의존하던 가사노동 및...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3111
Korean Abstract: 본고는 자산가격의 변동에 따른 민간소비의 동태적 반응을 분석한다. 오차수정모형에 기초한 분석 결과, 민간소비는 자산가격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만 2년 정도의 기간이 경과할 경우 총소득에 상응하는...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3127
English Abstract: Our paper aims to estimate a household consumption function in the presence of liquidity constraints … measuring the degree of the liquidity constraint rather than simply identifying its presence.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 present value of human capital is a function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the degree of the liquidity constraint is …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36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