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1 - 10 of 24
Korea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 체제전환 과정에서 어떤 경제정책을 선택했을 때 추격 성장에 성공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북한의 체제전환 시나리오로서 현상유지형, 중국식 시장사회주의, 남북통합의 세...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137069
Korea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남북한 통일 이후 북한지역의 출산율과 기대여명 변화에 대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코호트 요인법(Cohort Component Method)을 이용하여 남북한 인구를 추계함으로써 시나리오별 인구고령화의...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51143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파시네티가 제안한 소득 분배의 노동 원칙과 케인스의 『일반이론』 제24장의 관점에 입각하여 1994년 이후의 한국경제를 대상으로 이자생활자 부문과 산업 부문 사이의 소득 이전 양상을 분석한다....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55196
Korean Abstract: 북한의 인구구조는 체제전환 및 남한과의 통합 과정에서 경제성장이나 통일비용 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변수 가운데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UN 세계인구전망 통계를 이용하여 북한의 인구구조 변화 추이를...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20599
Korean Abstract: 2016년 기준 북한의 무역규모는 1990년대 중반에 비해 약 3배 정도 증가하였다. 이러한 변화를 두고 과거 폐쇄적이고 자립적인 경제구조를 지향했던 북한이 사실상 개방경제로 변화했다는 평가도 있으나...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19254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1996-2015년 기간 동안 개인이 아닌 기업이나 기관이 미국 특허청(USPTO)에 출원 및 등록한 특허자료를 사용하여 우리나라 지식전파의 지역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Jaffe, Trajtenberg, and Henderson(1993)...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891043
Korea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최근 북한경제가 국제사회의 제재로 인해 보유외화가 감소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물가와 환율이 어떻게 안정된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지 화폐수량설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모형을 설정하기에...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842889
Korea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2001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의 노동생산성 증가율을 자본 심화, 인적자본 증가, 그리고 총요소생산성 향상으로 분해하였다. 특히 인적자본 증가는 교육수준의 확대에 따른 노동 구성의 변화와...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835762
Korean Abstract: 이 연구는 1995년 1분기부터 2019년 3분기까지의 북·중무역 자료를 사용하여 북한의 가장 중요한 외화획득 원천이었던 광물 수출과 품목별 수입 간의 관계를 공적분, 벡터자기회귀모형, 그리고 충격반응함수를...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840393
Korean Abstract: 우리 경제가 고령화 등으로 인해 과거와 같이 요소투입을 통한 경제성장이 어려워지면서 총요소생산성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으나, 성장회계를 이용한 기존 연구들이 각기 다른 방법론을 사용함에 따라...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26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