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1 - 10 of 21
Korean Abstract:■ 최근의 물가상승률 하락은 국내 총수요의 부진과 함께 대외 여건 변화에도 상당 부분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되는 한편, 내년에도 소비자물가는 낮은 상승세를 지속할 전망 ○ 실증분석 결과, 소비자물가의...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67133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의 세계적인 인플레이션 동조화 현상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정책적인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하나의 글로벌 인플레이션 요인이 존재한다고 가정한 기존 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는 주성분...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869467
The English version of this paper can be found at 'http://ssrn.com/abstract=2949659' http://ssrn.com/abstract=2949659Korean Abstract:■ 소득분위별 실질구매력의 격차는 금융위기 이전의 명목소득 증가율 차이에 기인하며, 소비자물가는 소득수준과...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58981
Korean Abstract: 금융위기 이후 미국 경제는 여타 선진국 대비 빠른 속도로 회복되고 있어 그 원인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반면 이러한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미국 내에서는 구조적 장기침체(secular stagnation)에 대한 우려로...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59352
Korean Abstract:■ 최근 민간부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금융불안 가능성을 축소하기 위한 정책대응이 요구됨.■ 금리인상이 금융시장의 불안을 일부 완화할 가능성도 존재하나, 이와 동시에 경기 회복을 저해할 수 있음을...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309669
Korea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나타나고 있는 글로벌 투자의 부진이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글로벌 투자 부진은 세계 GDP 대비 세계교역량의 증가세가 과거에 비해 둔화된 하나의...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120660
Korean Abstract:■ 코로나19로 인해 한국경제의 GDP는 기존 경로를 상당 폭 하회할 것이며, 향후 GDP 경로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됨. ■ 코로나19 위기에 대응하여 단기적으로는 코로나19의 확산 방지를 최우선으로...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250675
Korean Abstract: 최근 주택건설의 급증은 경기보다 은행의 가계대출 태도와 더 밀접하였으며, 과거와 달리 주택 수요보다 공급이 더 큰 폭으로 확대된 데 따른 것으로 판단됨.● 최근 주택건설의 높은 증가세는 주택 이외 부문과...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67241
Korea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국제자본이 우리나라 증권시장에서 유출입하는 행태를 파악하여 그 위험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최근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커진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을 중심으로 외국인 투자자가 주요...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89534
Korean Abstract:본 연구에서는 필립스곡선을 통해 한국의 장기 기대인플레이션과 이에 대한 기대인플레이션의 고착 정도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기대인플레이션의 동학이 2012년 이후 크게 달라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장기...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03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