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Toggle navigation
Logout
Change account settings
EN
DE
ES
FR
A-Z
Beta
About EconBiz
News
Thesaurus (STW)
Academic Skills
Help
EN
DE
ES
FR
My account
Logout
Change account settings
Login
Publications
Events
Your search terms
Search
Retain my current filters
~language:"kor"
Search options
All Fields
Title
Exact title
Subject
Author
Institution
ISBN/ISSN
Published in...
Publisher
Open Access only
Advanced
Search history
My EconBiz
Favorites
Loans
Reservations
Fines
You are here:
Home
Mismatches in the Labor Market...
Similar by person
Narrow search
Delete all filters
| 1 applied filter
Year of publication
From:
To:
Online availability
All
Free
8
Type of publication
All
Book / Working Paper
8
Language
All
Korean
English
16
Author
All
Han, Joseph
8
KWON, Junghyun
1
Lee, Youngwook
1
Park, Yoonsoo
1
Source
All
ECONIS (ZBW)
8
Showing
1
-
8
of
8
Sort
relevance
articles prioritized
date (newest first)
date (oldest first)
1
청년층의 지역 간 이동에 관한 연구 : 대학 진학을 중심으로 (Study on Location Choice of Young People)
Han, Joseph
-
2022
Korean Abstract: 인구의 수도권 집중 현상은 청년층의 수도권 순유입 추세와 함께 시간이 지날수록 심화되고 있다. 청년층의 수도권 거주 비중은 진학과 취업 단계를 거치면서 10%p 정도 상승한 이후 지속되고 있으며, 이러한...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076537
Saved in:
2
새로운 위험에 대응한 사회안전망 구축 (Redesigning Safety Nets as a Response to New Challenges)
Lee, Youngwook
;
KWON, Junghyun
;
Han, Joseph
;
Park, Yoonsoo
-
2022
Korean Abstract: 사회안전망에는 새로운 도전들이 제기되고 있다. 일자리 형태의 다변화 추세, 코로나19 위기, 디지털 전환 및 기후변화 대응으로 촉발되는 급격한 산업인력 재배치 등을 들 수 있다.첫째, 코로나19 위기...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080655
Saved in:
3
청년 고용의 현황 및 정책제언 (The Employment Situation of Youth and Policy Suggestions)
Han, Joseph
-
2021
Korean Abstract:■ 현재의 청년층은 고령화된 인구를 부양할 미래 세대라는 점에서 인적자본 및 일경험 축적을 위한 사회적 배려의 필요성이 높음. ■ 현 경제위기는 직접 대면 및 이동 등이 제한되면서 업종별로 이질적인 수요...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250676
Saved in:
4
전공 선택의 관점에서 본 대졸 노동시장 미스매치와 개선방향 (Mismatches in the Labor Market for College Graduates : Focusing on Field-of-Study Choice)
Han, Joseph
-
2021
Korean Abstract:대학 전공과 직업 간 높은 미스매치는 각종 정원 규제로 인한 학과 간 정원조정의 경직성, 학과별 취업정보의 부족, 전공 선택 시기의 획일성 등에 기인하고 있다. 기술과 산업의 빠른 변화에 대응하려면 정원...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221614
Saved in:
5
청년기 일자리 특성의 장기효과와 청년고용대책에 관한 시사점 (Long-Term Effects of Initial Job Placement : Implications for Active Labor Market Programs for Youth)
Han, Joseph
-
2018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 사회의 대표적 현안과제 중 하나인 청년 일자리 문제의 현황과 원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특히 도구변수를 활용한 실증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노동시장에서 경력 초기 일자리 특성이 졸업 후...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25642
Saved in:
6
60세 정년 의무화의 영향 : 청년 고용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The Labor Market Impacts of Delayed Mandatory Retirement)
Han, Joseph
-
2020
Korean Abstract:본 보고서에서는 2013년에 입법화되어 2016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된 60세 (이상) 정년 의무화가 노동시장에 미친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본다. 특히 정년의 강제적 연장이 고령 고용과 청년 고용에 각각 어떤...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834120
Saved in:
7
대학 전공분야 선택과 정부의 역할 (Field-of-Study Choice in Higher Education and the Role of Government)
Han, Joseph
-
2020
Korean Abstract: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면서, 우리 사회는 혁신을 이끌어갈 융복합적⋅창의적 인재를 요청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대학교육은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받고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840784
Saved in:
8
정년 연장이 고령층과 청년층 고용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Delayed Mandatory Retirement on Elderly and Youth Employment)
Han, Joseph
-
2020
Korean Abstract:■ 지난 2016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된 60세(이상) 정년 의무화로 인해 민간사업체에서 고령층(55~60세) 일자리는 증가한 반면 청년층(15~29세) 일자리는 감소하였고, 이러한 효과는 대규모 내지 기존 정년이 낮았던...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091549
Saved in:
Results per page
10
25
50
100
250
A service of the
zbw
×
Load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