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1 - 10 of 24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일반인의 인플레이션 기대 형성 행태를 정보 경직성(information rigidity)의 존재 여부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일반인의 인플레이션 기대 형성 과정에 정보 경직성이...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137068
Korean Abstract: 본고는 외환위기 이후 성장과 고용 및 인플레이션 간의 관계가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고 있음에 주목하여 Stock and Watson(1999)의 필립스곡선 모형을 통한 인플레이션 예측력을 기준으로 일반적 고용지표를 보완할...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137124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의 확대가 국내 소비자물가상승률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계량적으로 추정해보았다. 기존 연구들에서는 자유무역협정의 경제적 효과, 즉 경제성장의 측면, 산업부문별...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65122
Korean Abstract: 가격경직성의 존재 여부와 그 정도는 통화정책 효과를 비롯한 거시경제 분석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은행이 2012년에 우리나라 기업을 대상으로 가격설정행태를 조사한 자료를 이용하여...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26208
Korean Abstract: 본고는 한국은행이 실시한 「2016년 기업 가격설정행태 조사」의 결과를 정리하고 통화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였다.먼저 「2016년 기업 가격설정행태 조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17176
Korean Abstract: 본고는 2000년대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외자유입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영향에 대해 서로 대립되는 환율 효과 및 총수요 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환율 효과는 외자유입 시 원화의 평가절상에 따른...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22965
Korean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가계간 소비 바스켓 (및 인플레이션) 이질성하에서의 최적통화정책을 다부문 뉴케인지언 모형(multi-sector New Keynesian model)을 통해 분석하였다. 소비 바스켓 이질성은 새로운 경로를 통한 통화정책의...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240639
have been strengthened, and imports from China have plummeted to an unprecedented level due to the 2020 COVID-19 pandemic …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346224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글로벌 요인과 개별 국가 요인의 영향을 다층 요인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한국과 G7 의 월별 인플레이션 자료에서 글로벌 요인과 국가 요인을 추정하고 각 요인의...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347539
Korean Abstract: 자본유입에 대한 이론적ㆍ실증적 연구는 자본유입이 환율의 평가절상을 야기하여 국내 경제를 위축시킨다는 먼델-플레밍 모형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자본유입이 소규모 개방경제에서...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248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