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1 - 10 of 12
Korean Abstract: 이 글은 2000년대 일본의 대북제재가 북한의 대외거래에 미친 효과를 측정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대북제재의 경제적 효과를 개념화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현존하는 북한무역통계를 토대로 일본 대북제재의...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3142
Korean Abstract: 본 논문은 중국이 FTA(CEPA 포함) 협상을 완료했거나 추진 중인 8개 협정의 경제적 효과를 계산하고 개방이익의 크기를 서로 비교하였다. 특히 중국의 WTO 가입에 따른 변화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발생하는 경제적...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42616
Korean Abstract: 본 논문은 인구고령화가 경상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OECD 30개국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하였다. 실증분석 방법으로는 panel least squares, 고유효과(fixed effect) 및 weighted least squares 추정방식을 사용하였다....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42607
Korea Abstract: 본 논문은 GTAP(Global Trade Analysis Project) 버전 7 데이터베이스에 맞게 CO2 배출량을 업데이트한 후, 무역기반 환경모형(GTAP-E)을 사용하여, (1) 탄소세 도입을 통한 부속서I 국가 감축목표의 개별이행 및...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42880
Korean Abstract: 주요 선진국에서 저출산과 기대수명 연장으로 인구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왔으며 이에 따라 노인부양 부담이 늘어나고 생산가능인구 비중은 축소되고 있다. 이에 각국은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잠재성장률...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51328
English Abstract: This paper studies the role of unemployment as a feedback variable in monetary policy interest rate … the real sector variable in the feedback rule. We build a DSGE model with sticky prices and wages and unemployment …, estimate the model using Korean data, and compare welfare losses between the rule responding to unemployment and the rule …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137065
Korean Abstract: 본고는 비관측 요인 모형을 통해 1981년부터 2019년까지 한국의 1인당 실질 GDP 추세 성장률을 추정하고 성장회계를 통해 추세 성장률 하락의 원인을 분석한다. 1인당 실질 GDP 추세 성장률은 외환위기를 극복하던...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250123
, but not in unemployment rates. We attribute such inconsistency to persons marginally attached to the labor force and … persons employed part time for economic reasons. Therefore, we construct extended measures for unemployment from 2003 to 2013 … that the alternative measures of unemployment rates support the existence of hysteresis in the Korean labor market, which …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26013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금융위기가 고용 및 실업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이번 금융위기 기간 동안의 고용조정이 외환위기 당시나 여타 선진국의 경험과 비교하여 매우 완만하게 나타난 원인이 무엇이었는지에...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3120
Korean Abstract: 본고에서는 노동자들이 위험 기피적이고 차입제약을 갖는 Mortensen-Pissarides (1994) 매칭모형에 경제활동참여 의사결정을 내생화하여 실업급여 지급기간 변화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모형의...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3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