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1 - 10 of 76
Korea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수입구조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수입구조를 수출 및 해외투자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파악하고, 수입이 기업의 퇴출과 구성요소별 생산성을 통해 기업의 분포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59463
In this paper, we analyze determinants of Korea's imports in the context of the interaction between exports and foreign investments, and investigate the effects of imports on firms' exit and productivity, in order to understand Korea's import structure and distributional influences of imports....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44388
Korean Abstract: 2017년 피터슨 연구소의 보고서는 반덤핑, 상계관세, 세이프가드, 국가안보에 근거하여 미국이 현재 조사 중인 수입규제가 현실화될 경우 적용대상이 되는 한국의 대미 수출품이 7.9%에서 12.2%로 늘어나 중국을...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18700
Korean Abstract: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 경제의 저성장 기조가 지속되는 가운데 보호무역주의 확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각국 정부는 WTO 등 국제기구를 통해 모니터링이 용이한 관세 대신 비관세조치를 일자리...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06658
Korean Abstract: 2016년 6월 23일 영국의 EU 탈퇴 국민투표에서 브렉시트가 결정되자, 전 세계는 큰 충격에 휩싸였고 세계경제에 불확실성이 더해졌다. 국민투표 이후 지난 6개월 동안 EU 탈퇴과정으로 인한 혼란이 계속되고 있으며,...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59393
Korean Abstract: 디지털 플랫폼의 발전과 함께 글로벌 전자상거래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국제화는 전통적인 방식에 비해 해외시장 진입 비용을 크게 낮추었는데, 이는 자본이나 인력 면에서...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242319
Korean Abstract: 우리나라는 2000년대 이후 FTA 정책의 확대, 중국ㆍ베트남 중심의 무역구조 개편과 같은 무역충격(trade shocks)을 겪으면서 산업 및 고용 구조가 상당히 변화하였다. 이와 같은 변화는 동 기간에 우리나라가...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346277
Korean Abstract: 중소기업은 기업체 수나 고용 측면에서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우리나라 경제의 핵심적인 경제주체이다. 그러나 지난 20여 년간 생산성이나 평균 임금의 측면에서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격차는 점점 더...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092947
본 연구에서는 한ㆍ미 FTA 계기 국내법 개정 현황을 ‘규제 조화'(4건), ‘제도 간소화'(3건), ‘공기업 경영 투명성 제고'(3건), ‘고부가가치 서비스 시장 접근성 제고'(5건), ‘지식재산권 보호수준 강화'(9건), ‘제도 투명성...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207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