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1 - 10 of 11
링크를 클릭하시면, 이 보고서의 한국어 버전을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srn.com/abstract=2996314' http://ssrn.com/abstract=2996314.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use of and underlying issues related to problem-solving skills, a vital competency in future jobs, and...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52996
The English version of this paper can be found at 'http://ssrn.com/abstract=2996315' http://ssrn.com/abstract=2996315.Korean Abstract: □ 본고에서는 미래 직업세계의 핵심적 역량인 ‘문제해결 스킬(problem-solving skills)'의 활용 정도와 관련된 문제점과 그...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52999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장기실업에 대한 대응방안으로써의 직업훈련의 중요성을 살펴보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실업자 직업훈련의 효과성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경제활동인구조사'를 통해...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79557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정부의 재정지원 일자리사업 현황을 살펴보고, 사업 유형별로 고용률과 실업률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재정지원 일자리 사업을 포함한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을 살펴보면, 직접적...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89527
Korean Abstract: 채용장려금제도는 최근 정부의 최대 화두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의 지출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사실상 그 효과에 대한 논의는...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0054
Korean Abstract: 최근까지 정부의 많은 정책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미취업 청년층의 문제는 해결하여야 할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고학력 청년층 미취업의 원인을 분석하고 개선을 위한 정책방향을...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3107
This paper aims to overview the current state of the government-funded job creation programs and then to discuss the programs' future direction for an effective improvement in the employment rate based on international comparison and empirical analysis.The government's budget for the job...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3830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4203
Korean Abstract: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는 사회적 포용성 제고와 지속적 성장이다. ‘포용 국가’의 출발점은 일자리 창출능력을 끌어올리는 것이며,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혁신과 산업구조 고도화를 통해...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092494
This paper re-examines the impacts an institutional arrangement may have on labour market outcomes such as the employment and unemployment rates. Based on the results from a generalized econometric model, the generosity of unemployment insurance benefits, organized labour and active labour...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1149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