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1 - 10 of 15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자료를 이용하고 일반화된 성향점수매칭법(Generalized Propensity Score matching, GPS)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공공훈련기관과 대학에서 … effects. Using the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09-2013), we estimate job training effects on employability by …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25911
mean duration of unemployment could decrease if an implicit income of unemployment declines or a rate of job offer rises … because a policy to lower an implicit income of unemployment may not secure policy target efficiency …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3107
Korean Abstract: 본고에서는 노동자들이 위험 기피적이고 차입제약을 갖는 Mortensen-Pissarides (1994) 매칭모형에 경제활동참여 의사결정을 내생화하여 실업급여 지급기간 변화가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모형의...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3149
, but not in unemployment rates. We attribute such inconsistency to persons marginally attached to the labor force and … persons employed part time for economic reasons. Therefore, we construct extended measures for unemployment from 2003 to 2013 … that the alternative measures of unemployment rates support the existence of hysteresis in the Korean labor market, which …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26013
Korean Abstract: 주요 선진국에서 저출산과 기대수명 연장으로 인구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왔으며 이에 따라 노인부양 부담이 늘어나고 생산가능인구 비중은 축소되고 있다. 이에 각국은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잠재성장률...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51328
Korean Abstract: 일반적으로 임금과 고용의 변화는 경기변동, 노동시장 제도변화, 교육수준 향상 등 노동수요 및 공급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이중 생산기술의 변화는 생산과정에서의 노동투입 결정에...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13702
Korea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GOMS) 자료를 이용하여 출신대학 소 재지가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다른 조건이 유사할 때 비서울지역 대학교 졸업자는 서울 소재 대학교 졸업자에...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93143
Korean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최저임금이 고용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최저임금 인상으로 산업내 최저임금 미만자 및 영향자의 비율이 상 승하는 경우 근로자들의 비정규직화 비율 및 정규직과...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06393
Korean Abstract: 본고에서는 고용보호가 노동시장의 이원화에 미치는 영향을 기존연구에서 주목하고 있는 OECD 기준 임시직비율뿐만 아니라 단기근속비율, 임금십분위 배율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또한...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137066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01480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