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R&D 투자가 수출 및 해외직접투자에 미치는 영향 : 생산성 변화를 중심으로 (R&D Effects on Firm Productivity, Exports, and OFDI: Korean Firm-Level Analysis)
Korean Abstract: 우리나라 기업의 R&D 투자는 2012년 43조 2,229억 원으로 지난 2000년부터 2012년간 연평균 12.7% 속도로 증가해왔다. 전체 R&D 투자에서 기업의 R&D 투자가 차지하는 비중도 점차 증가하여 2012년 77.9%에 이르고 있으며, 이는 주요국인 미국, 일본, 중국보다 높은 수준이다. 한편, 우리나라 기업의 수출과 해외직접투자도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GDP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중 역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특히 R&D 투자를 기반으로 하는 주력 품목들인 선박, LCD, 자동차, 핸드폰 등이 우리나라 전체 무역규모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0%를 초과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렇듯 기업 주도의 R&D 투자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아울러 해외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경제구조에서 기업의 R&D 투자가 수출 및 해외직접투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특히, R&D 투자와 기업의 생산성, 기업의 생산성과 수출 및 해외직접투자와의 관계에 대해서 분석한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참조하여 R&D 투자의 수출 및 해외직접투자 효과를 기업의 생산성과 연계하여 분석하였다.우리나라 기업의 R&D 투자와 수출 및 해외직접투자 현황을 조사한 결과 우리나라의 전체 R&D 투자 중에서 정부의 R&D 투자증가율은 둔화되고 있는 반면 기업의 R&D 투자증가율은 계속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2000년 이후 최근까지 기업의 R&D 투자에서 제조업 R&D 투자의 비중은 연평균 87%에 이르고 있어 제조업 부문에서의 R&D 투자가 매우 활발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수출은 2013년 5,620억 달러를 기록하여 최근 10년간 연평균 13.6%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해외직접투자는 같은 기간 연평균 47.6% 증가하여 2013년에는 약 95억 달러를 기록하는 등 R&D 투자와 수출 및 해외직접투자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한편 산업별로 R&D 투자를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특정 산업에서의 R&D 투자와 수출 및 해외직접투자가 매우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표준산업분류(KSIC) 2단위 기준으로 분류하여 조사한 결과 ‘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의약품 제외)',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등과 같이 자본집약적인 산업에서의 R&D 투자와 수출 및 해외직접투자가 매우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D 투자와 수출 및 해외직접투자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R&D 투자비중이 높은 산업일수록 수출과 해외직접투자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