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Abstract:본 연구는 금융투자회사 근로자를 대상으로 금융회사 내에서 업무 수행 시, 금융소비자 보호에 대한 인식과 행동이 어떠한 지를 실증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금융소비자보호 행 동의 주요 영향요인을 파악해 금융업권의 금융소비자보호 업무에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금융투자회사 근로자의 직무특성과 금융소비자보호 인식 에 초점을 맞추어 금융소비자보호 행동의 영향요인을 살펴보고, 금융투자회사 근로자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직무특성, 자기과신성향과 주관적 업무이해력과 금융소비자보호 행 동 사이에서 금융소비자보호 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를 위해 금융투자회사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자료 2,263부를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융투자회사 근로자들의 자기과신성향과 주관적 업무이해력 수준은 5점 만점에 3.56점, 3.61점으로 나타나 자기과신성향과 주관적 업무이해력이 보통 수준보다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금융소비자보호 인식은 5점 만점에 3.65점이었고, 회사의 금융소비자보호 정책 및 시스템에 대한 인식은 5점 만점에 3.66점, 현업부서의 소비자보호 관련 역할에 대한 인식은 3.62점, 소비자보호 관련 민원처리에 대한 인식은 3.68점으로 나타났다. 또 한 금융소비자보호 행동은 4.23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금융투자회사 근로자들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 직무특성에 따른 금융소비자보호 인식과 행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 별, 직장경력, 직급에 따라 금융소비자보호 인식수준에 차이가 있 으며 성별, 연령, 근 무지, 담당업무, 직장경력, 직급에 따라 금융소비자보호 행동의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성별, 근무지, 담당업무, 자기과신성향과 주관적 업무이해력은 금융소비자보호 행동에 유 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수가 지니는 상대적인 영향력의 크기를 비교해 보면, 업무이해력, 자기과신성향, 성별, 직장경력, 근무지, 순으로 금융소비자보호 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또한 금융상품 판매 단계별 근로자의 자기과신성향, 주관적 업무이 해력, 금융소비자보호 인식 및 행동을 비교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즉 자 기과신성향과 주관적 업무이해력 수준 및 금융소비자보호 행동은 상품개발/기획부서와 상품판매부서에 근무하는 근로자가 판매후관리부서에 근무하는 근로자보다 높게 나타났 다. 다섯째, 금융소비자보호 행동에 대한 금융소비자보호 인식의 조절효과를 측정한 결 과, 직무특성 중 업무이해력과 금융소비자보호 행동 간에 금융소비자보호 인식이 부정적 인(-)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