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은 신제품 도입을 촉진시키는가? : 제조업 사업체-품목 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 (Does Exporting Promote New Product Introduction?: Evidence from Plant-Product Data on Korean Manufacturing)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제조업의 사업체․품목 연계자료를 이용하여 수출이 신제품 도입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는지를 실증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관련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신제품 도입을 품목자료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측정하고, 또한 신제품 도입을 경제 전체 관점에서의 신제품 도입과 사업체 관점에서의 신제품 도입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경제 전체 관점에서의 신제품 도입이 우리나라 제조업부문의 성장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본 연구는 사업체의 수출 여부 더미변수와 신제품 도입 간에는 유의한 횡단면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소위 ‘PSM(propensity score matching)' 기법을 이용하여 수출이 그 수출사업체의 신제품 도입을 촉진하는 효과를 갖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수출은 그 사업체가 생산하는 전체 품목 수를 늘리는 효과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만일 본 연구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국제무역, 특히 수출이 신제품 도입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면, 무역자유화 혹은 국제무역을 제약하는 무역비용(trade costs)의 축소에 따른 장기적․긍정적 효과는 통상적으로 거론되는 무역자유화의 효과에 비해 훨씬 클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효과가 실현되는 데 기업 간 그리고 기업 내 자원재배분 과정이 수반됨을 고려할 때,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경쟁적 시장환경의 중요성을 다시금 강조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최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소위 수출 주도형 성장전략이 더 이상 개도국의 성장전략으로서 적합하지 않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지만, 본 연구는 수출이 성장에서 갖는 중요한 역할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Year of publication: |
2016
|
---|---|
Authors: | Hahn, Chinhee |
Publisher: |
[2016]: [S.l.] : SSRN |
Saved in:
freely available
Saved in favorites
Similar items by person
-
Exporting and Performance of Plants : Evidence from Korean Manufacturing
Hahn, Chinhee, (2021)
-
Bankruptcy Policy Reform and Total Factor Productivity Dynamics in Korea
Lim, Youngjae, (2021)
-
Hahn, Chinhee, (2016)
-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