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역내 금융환경의 변화 분석 및 시사점 : 중국 위안화의 국제화 진전을 중심으로 (Empirical Analysis on the Possibility of Internationalization of the Chinese Yuan)
Korean Abstract: 위안화의 국제화 추진을 위해 중국 정부는 위안화 무역결제 프로그램과 각국 중앙은행과의 통화스왑 확대로 위안화의 역내 결제통화로서의 지위를 확보해 나가고 있다. 또한 중국 정부는 공급된 위안화를 운용할 수 있도록 홍콩에 위안화 역외시장을 개설하는 등 위안화 국제화와 관련된 제도개혁을 서두르며 소위 “관리된 국제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아시아 역내 금융환경 변화를 분석 전망하고 위안화의 국제화 가능성을 시산하였다. 또한 위안화 국제화 진전이 우리나라 금융시장 및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분석 방법은 비선형 확률모형인 순위로짓 (ordered logit)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중국 위안화의 국제화 가능성 시산 결과, 중국 위안화의 부분 국제화 확률은 비교적 높지만 완전 국제화 확률은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다양한 시뮬레이션 분석 결과, 향후 중국 정부의 의지와 정책, 즉 자본시장의 발전 및 개방 정도에 따라 위안화가 달러화나 유로화의 지위까지도 올라갈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고려할 때 중국 위안화의 무역결제 비중과 위안화표시 자산이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 점에 주목하여 대중 무역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는 위안화 국제화가 역내 금융환경과 우리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주요 국제통화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대외취약성 완화를 위해 단기적으로 무역결제 등 대외거래 시 원화를 활용하고 중장기적으로 원화표시 해외채권 발행에 관한 절차적 규제 완화, 국내 채권시장의 국제화 진전 등을 통하여 원화의 국제적 활용도를 높여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