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국의 사회서비스 일자리 분석 및 정책시사점 (Case Studies and Empirical Analysis in Social Services Employment)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의 사회서비스 일자리 정책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참고자료를 제공하고자 사회서비스 일자리 규모를 국제비교하고, 주요국의 사례를 심층분석하며, 사회서비스 일자리의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국제비교에서는 OECD의 자료를 이용하여 인구 대비 사회서비스 일자리 규모를 국가 간에 비교하였다. 특히 문재인 정부의 사회서비스 일자리 확충 정책을 고려하여, 문재인 정부 출범 직전인 2016년 값과 보고서 작성 시점에서 OECD가 제공하는 가장 최근 수치인 2019년 값을 비교하였다. 사례분석은 최근 널리 사용되는 사회복지체제 분류의 유형별 대표 국가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보수주의의 독일, 자유주의의 영국, 사회민주주의의 스웨덴, 동아시아의 일본을 분석하였다. 현재 한국의 사회서비스 일자리 정책에 참고가 될 정보가 사회서비스의 정의, 사회서비스 전달체계의 특징, 사회서비스에 대한 정부 지출 규모, 사회서비스 일자리 규모라는 판단 아래 사례별로 상술한 네 가지 측면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에서는 관련 문헌에서 적정 사회서비스 일자리 규모의 결정요인으로 제시된 변수들을 설명변수로 하여, 인구 대비 사회서비스 일자리 규모의 결정요인을 OECD 회원국의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Year of publication: |
2022
|
---|---|
Authors: | Joe, Dong Hee ; Hong, Sungwoo ; Jang, Young-ook ; Lee, JungEun |
Publisher: |
[S.l.] : SSRN |
Saved in:
freely available
Saved in favorites
Similar items by person
-
유럽 주요국 녹색당의 성공 및 실패 요인 분석 (Determinants of Success and Failure of Green Parties in Europe)
Joe, Dong Hee, (2022)
-
Jang, Young-ook, (2022)
-
한ㆍEu FTA 10주년 성과 평가 및 시사점 (Ten Years of Korea-EU FTA : Achievements and Way Forward)
Joe, Dong Hee, (2022)
-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