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장기 균형실질환율 : 장기 균형과 단기 균형이탈률 추정 (Natural Equilibrium Real Exchange Rate in Korea)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원화 장기 균형실질환율을 추정하고, 실제의 실질환율이 그 균형수준을 잘 반영하는지 아니면 얼마나 균형으로부터 이탈되어 있는지를 추정한다. 관측 불가능한 균형실질환율을 추정하기 위해 자연실질환율(NATural Real EXchange rate: NATREX) 모형을 이용한다. 거시균형접근에 동학요소를 추가한 NATREX 모형을 이용해 분석한 결과, 원화의 실질환율은 총요소생산성, 수입원자재 투입요소, 교역조건, 국제장기금리, 인구부양비율 등과 장기 균형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국 원화는 고평가와 저평가를 주기적으로 반복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06년 I분기의 경우 고평가 정도가 2000=100지수 기준 2.6포인트(균형환율에 대한 백분율로는 3.2%)를 보이며 점차 장기 균형으로 수렴해가는 추세를 보인다. 외부충격시 NATREX 모형의 장기 균형시스템은 2~3분기 안에 다시 균형을 회복하며, 균형이탈 역시 한 방향으로의 지속적인 추세를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균형이탈 패턴을 감안하면, 무역정책으로서의 장기지속적인 환율개입정책은 장기적으로 크게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