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일-미 4개국간 무역의 상호의존관계 분석 (A Study on Trade Interdependence between Korea, China, Japan, the US)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1985-90-95년 國際産業聯關表」를 기초로 2000년 및 2003년 한국ㆍ중국ㆍ일본ㆍ미국 등 4개국 국제산업연관표를 새롭게 작성하여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3개국과 미국 등 4개국의 산업구조 변화와 각국간 상호의존관계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후방연쇄효과를 나타내는 영향력계수는 중국과 한국이 크고, 전방연쇄효과를 나타내는 감응도계수는 중국과 일본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한국ㆍ중국ㆍ일본 등 동북아 3개국간 경제의 상호의존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향후 한국ㆍ중국ㆍ일본 동북아 3개국은 각국의 비교우위상품을 중심으로 경제협력 강화와 교역규모 확대를 추진하는 한편, 장기적으로는 교역대상국의 지나친 편중에서 초래하는 부작용에도 대비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들은 특히 중국 및 한국이 중장기적으로 소재ㆍ부품 산업 및 첨단산업을 적극 육성하여 현재의 일본, 미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즉 지속적인 무역상대국의 다변화와 통신 등 제조업 지원 서비스업을 집중 육성하여 자립형 산업구조를 확립하는 내수 주도 성장전략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결국 생산성 향상 등을 통해 경제체질을 선진국 수준으로 꾸준히 강화해나가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는 「1985-90-95년 國際産業聯關表」를 기초로 2000년 및 2003년 한국ㆍ중국ㆍ일본ㆍ미국 등 4개국 국제산업연관표를 새롭게 작성하여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3개국과 미국 등 4개국의 산업구조 변화와 각국간 상호의존관계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후방연쇄효과를 나타내는 영향력계수는 중국과 한국이 크고, 전방연쇄효과를 나타내는 감응도계수는 중국과 일본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한국ㆍ중국ㆍ일본 등 동북아 3개국간 경제의 상호의존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향후 한국ㆍ중국ㆍ일본 동북아 3개국은 각국의 비교우위상품을 중심으로 경제협력 강화와 교역규모 확대를 추진하는 한편, 장기적으로는 교역대상국의 지나친 편중에서 초래하는 부작용에도 대비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들은 특히 중국 및 한국이 중장기적으로 소재ㆍ부품 산업 및 첨단산업을 적극 육성하여 현재의 일본, 미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는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즉 지속적인 무역상대국의 다변화와 통신 등 제조업 지원 서비스업을 집중 육성하여 자립형 산업구조를 확립하는 내수 주도 성장전략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결국 생산성 향상 등을 통해 경제체질을 선진국 수준으로 꾸준히 강화해나가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고 말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