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1 - 10 of 20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호주·뉴질랜드의 경제적, 전략적 중요성을 살펴보고, 호주·뉴질랜드와의 협력 증대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아시아 주요국을 중심으로 호주와 뉴질랜드의 경제관계 및 통상전략을...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18684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과 아세안의 서비스교역 현황 및 제한요인을 분석하고, 우리나라 서비스수출의 안정적인 성장을 위한 정책 대응방안을 모색하였다. 서비스교역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GVC 분석, 공급유형별...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866334
Korean Abstract: 중국은 동남아의 최대 교역상대국이자 주요 투자자로서 역내 경제적 영향력을 크게 강화하고 있고, 일대일로(一帶一路) 전략하에 적극적으로 동남아 인프라 개발도 확대하고 있다. 한국이 중국의존도를 줄이기...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44386
Korean Abstract: 이 연구보고서는 동남아를 중심으로 해외송금의 현황과 특성, 그리고 그 개발효과를 분석하였다. 개발도상국으로 유입되는 해외송금은 그 규모가 크고 꾸준히 늘고 있다는 점, 다른 대외자금 유입액보다...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71555
Korean Abstract: 최근 필리핀의 호황은 해외송금의 지속적인 유입에 기반을 둔 민간소비 중심의 경제구조가 고착화되고 BPO 산업이 급속히 성장하는 가운데 해외송금과 BPO 산업 호황이 건설경기 호황을 이끌어내면서 이루어지고...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3053585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과 동남아 주요 신흥국가인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과의 산업협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전략을 마련하고자 시작되었다. 이를 위하여 주요 제조업을 중심으로 생산공정별 교역구조 분석,...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73241
Korean Abstract: 한국은 최근 직접투자를 통해 ASEAN과 상호 의존적인 경제관계를 확대하고 있으므로, 장기적 안목에서 어떻게 전략적 관계를 발전시켜나갈지 고민할 때다. 양자간 관계를 더욱 강화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한국의...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59349
Korean Abstract: 기존 진출기업 지원정책은 수출촉진을 위해 진출 이전단계에 집중한 나머지 기(旣)진출기업에 대한 지원을 간과했다. 진출기업 지원정책의 새로운 방향으로 동남아 기(旣)진출기업과 신규 진출기업 간의...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2943193
Korean Abstract: 디지털경제가 세계경제의 화두라는 것은 더이상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다. 디지털경제는 좁게는 ICT(Internet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새롭게 등장하는 온라인 플랫폼과 그러한 플랫폼을 통한...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092867
Korean Abstract: 아세안은 2015년 아세안 공동체를 출범시키고 정치·안보, 경제, 사회·문화 영역에서 역내 통합을 추진해왔으나, 미·중 전략경쟁 심화 및 코로나19 확산 등대내외 환경 변화로 인해 새로운 도전과제에 직면하고...
Persistent link: https://www.econbiz.de/10014078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