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선물을 이용한 환위험관리 방안 연구 : 원엔 및 원유로화 통화선물시장을 중심으로 (Estimation of the Hedge Performance of the Won/Yen Futures and Won/Euro Futures Markets)
Korean Abstract: 동 연구는 원엔 및 원유로화 현물포지션(spot position)보유에 따른 환리스크관리를 위하여 원엔 및 원유로 통화선물시장의 직접헤지 유용성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6년 5월 26일부터 2008년 9월 30일까지 한국증권선물거래소에 상장된 유로화 및 엔화 통화선물시장의 최근월물 자료와 현물시장자료를 이용하여 Ederington(1979)의 전통적인 최소분산모형과 Engle(1982)의 시간변동 ECT-ARCH모형을 추정하였다. 주요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먼저, 원엔 현·선물 수준변수사이 뿐만 아니라 원유로 현·선물 수준변수사이에는 공적분(co-integration)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표본기간동안 헤지성과분석결과에 의하면 동태적인 헤지모형의 헤지성과가 정태적인 헤지모형의 헤지효과보다 상대적으로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표본기간동안 헤지성과분석결과에 의하면 정태적인 헤지모형의 헤지효과가 시간변동이변량 ECT-ARCH 모형의 헤지성과보다 상대적으로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내표본 외표본기간 모두 원엔 통화선물의 헤지성과가 원유로 통화선물의 헤지성과보다 상대적으로 더 나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외표본기간동안의 실증분석결과는 윤원철, 안현진(2004), 홍정효, 문규현(2004), 홍정효, 문규현(2007), 오세열(1996)등 기존의 원달러 선물 및 선도시장에 대한 헤지성과 분석결과와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